10대 마약보다 더 무서운 국뽕
우리나라가 초고속 성장기를 거친 이후
이렇다 할 기술개발이 없는 상황에서
어디서 갑자기 마약처럼 나오는 이야기들이 국뽕이다.
주변 사람들이 나보고 문화이타주의자 라고 하고 혹은 일뽕이 강하다는데
나는 일뽕은 전혀 아니다.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기술력 면에서는 앞서 있다.
일반적인 기술을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다.
일본은 순수과학 기초과학 등에서 월등히 앞서고 있다.
안철수가 융합에 대해 강조했었고 그 이후로 융합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내가 예로 잘 드는 것이 베어링이다.
지금은 또 새로운 데이터가 필요하지만 크게 달라진 부분은 없을 것이다.
모터에는 베어링이 들어간다.
중심축이 회전을 하려면 베어링이 양쪽을 바치고 있어야 한다.
(일반적인 전동 모터를 예시로 든다.)
이렇게 받치는 베어링의 내구성이 독일 이탈리아 미제의 경우 약 2년정도가고 +-4개월 ~ 6개월 정도난다.
독일제의 경우 정말 컨디션이 좋은경우 3년까지 가는 경우도 봤다.
국산의 경우 1년정도간다. 1년 컨디션이 매우 좋으면 2년까지 가는 경우는 보긴봤는데
내부에 있는 소모품이 닳아 없어지는 정도가 아니라 사라져있다.
중국산의 경우 6개월에서 최대 1년까지 간다.
이게 뭐 중요한 일이냐고 그러겠지만
베어링은 산업의 기본중의 기본이 되는 기술이다.
1년이 가나 2년이 가나 무슨 상관이냐 교체하면 되는데
라고 생각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고도의 하이테크 기술로 갈 수록 내구성이 받쳐줘야 한다.
생산성의 경우에도 10년동안 중국산의 사용해 베어링 교체를 위해 10번 뜯는거랑
독일산을 써서 3 ~ 4번으로 단축하는것이랑 어느것이 나은지 생각해보기 바란다.
단순하게 작은 장비이면 아무 상관이 없겠으나
하루에 수십 수백억이 날아가는 대규모 공장일 수록 더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명심했으면 좋겠다.
10대 마약보다 더 무서운 국뽕
예전에 포스맥에 관한 포스팅을 했었는데 지금은 잘기억이 나지 않는다.
요지는 포스맥이라는 철재는 녹이 잘 쓸지 않고 오래가는 제품이다.
한국도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한번 지을때 완벽하고 오래가는 건물을 짓게 될 것이다.
어떤 구조물이든 그렇게 제작 될 것임을 알 수 있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로스타임을 줄이고 그 시간에 일을 더 하겠다는 시대적 흐름이고 의지라고 볼 수 있다.
재미있는 것은 생각보다 그 속도가 빠를 것이고
사실 포스코가 포스맥을 개발 했을 당시만 하더라도 사업성 문제로 인해서
저게 언제 상용화가 될까 라는 생각을 했었다.
개발 당시에 개발은 했지만 단가가 너무 비싸서 세계적인 경쟁력이 없었고
앞서 시장의 쟁쟁한 경쟁자들이 적정한 단가에 제품을 판매 하고 있었다.
개발은 했지만 시장에 나가지 못했는데 그때 보다는 지금이 노하우 축적으로 인해
나아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이야기를 왜 하게 되었냐 하면 우리가 최신기술이라고 떠들고
혁신적인 기술이라고 말하는 것들 중에 많은 부분이 일본이나 유럽 미국 등에서는
이미 개발이 완료되었고 상용화 하였고 꿀빨고 있는 노다지 캐는 자리에 들어가 있다는 것이다.
10대 마약보다 더 무서운 국뽕
이런 기술들이 모이게 되면 베어링의 내구성이 올라가게 되는데 기여를 하게 된다.
아는 지인이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처럼 오래가는 베어링을 만들 수 있지만 안만드는거라고 거짓말을 하는데
그거 개발 할 시간에 다른 더 높은 기술력을 개발하는게 낫지 않겠냐 라는데
기술이라는게 1,2,3,4,5,6,7 순서대로 올라가는 것이지 1다음에 9가 되는 것이아니다.
1과 9사이에 있는 기술들은 전부 수입해 오는 것 밖에 안된다.
거짓말인지 무지한건지 모르겠지만 내가 느끼기에는 무식한 발언이다.
한국이 건설기술이 좋아서 도면은 수입해서 롯데 타워를 올렸을까?
왜 항상 건설도면은 해외에서 수입해서 프로젝트를 시행할까?
그게 싸서? 할줄 모른다는 증거이다.
이렇게 말했는데도 일뽕이라 하면 할말은 없다.
중요한건 현실을 직시하고 항상 위기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별 시덥잖은 기술로 국뽕에 차가는 모습들을 보면 앞날이 걱정된다.
10대 마약보다 더 무서운 국뽕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우조선해양 합병 무산 그 이후 (0) | 2022.01.07 |
---|---|
같잖은 교육들이 우후죽순 생기네 (0) | 2022.01.07 |
2022 대통령 후보 김동연이 답이다. (0) | 2022.01.02 |
디지털금이라 불리는 암호화폐 전망 (0) | 2021.12.21 |
디지털금이라 불리는 암호화폐 전망 (0) | 2021.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