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

스태그플레이션이 도래 할까?

언덕위의바람 2022. 4. 10. 01:03
반응형

중국을 맛탱이 가게 하는 최적의 시나리오는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생각했었고

 

그게 이제 다가 오려고 한다.

 

거기에 세트로 묶어서 우리나라도 나빠질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만 나빠지는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나빠질 것으로 보인다.

 

그런 상황 가운데 우리나라는 최악으로 빠질 것으로 보인다.

 

스태그플레이션이라는 시나리오도 있지만

 

우리나라의 자본경제 시장이 개판이고 특히나 주식시장은 더 말해 무엇하겠는가

 

외국인의 입장에서 한국에서 적절한 가격전가가 될 만한 기업들은 무엇이 있을 것이라

 

볼 수 있을까?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지면 경기가 불황이고 물가는 오른다.

 

즉 물가가 오른만큼 가격에 반영 할 수 있는 브랜드 밸류 혹은 필수로 사용해야하는 것들

 

또한 그것을 가격상승하는 비용 전가와 더불어 판매량이 약간 축소되거나 거의 유지되는 정도의

 

경쟁력을 가진 제품들이 어떤게 있는지가 관건이다.

 

 

스태그플레이션이 도래한다면 한국의 대부분의 산업이 죽게 될 것이다.

 

물가는 오르는데 물건은 안팔리는 상황

 

최근의 상황은 공급망 이슈와 더불어 글로벌 열강들의 이견과 이권다툼으로 인한

 

물가 상승 공급망 교란등이 이제부터 제대로 영향을 주기 시작 할 것이다.

 

금리 상승 식량가격 상승 원자재가격 상승

 

이 세가지가 핵심 키워드인데

 

우리나라는 잘 대비 되어 있을까?

 

지난 5년동안 우리나라는 도대체 무엇을 하고 있었나??

 

우리나라는 알면 알 수록 경쟁력이 없는 국가라고 생각된다.

 

식량자급률은 턱없이 부족하고 원자재는 전량 수입하며 금리 또한

 

좌지 우지 할 만한 경쟁력이 없다.

 

우리는 한번도 겪어보지 못한 이 위기를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스태그플레이션을 대하는 각국의 대응책은 다 다르겠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은 쉽게 끝나지 않을 것이고

 

식량가격 폭등은 저소득 빈민국들의 사회 불안정으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남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미국이 손 본다는 뷰를 가지신분들도 계시는데

 

단순히 남아시아를 넘어 전세계를 타깃으로 쏜 경제파괴 미사일은

 

모든 나라에게 골고루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스태그플레이션인 상황에서는 어떤걸 사야 할까?

 

현금 들고 있는 놈은 바보다.

 

예금 하겠다는 놈도 바보다.

 

귀금속이나 원자재 필수재 위주로 사야 한다.

 

회사가 될 수도 있고

 

현물일 수도 있다. 각기 원하는 물건을 가지고 이 어려움을 잘 해쳐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인해 농산물 가격 폭등 고기값 폭등 원자재가격 폭등

 

소비재 판매 저조 가격 폭락 기술주 떡락 금리 폭등

 

보기만 해도 무섭다.

 

쉽게 이 흐름은 끝나지 않을 것이다. 기회 또한 열려있다.

 

물론 스태그플레이션이 기회라는게 아니라 스태그플레이션이 끝나는 시점이 기회라는 것

반응형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오일뱅크 상장하기는 하냐?  (0) 2022.05.12
2022 5 12  (0) 2022.05.12
인플레이션 관련주를 찾아야 하나?  (0) 2022.01.23
김정민 박사 인복 없는 사람  (0) 2022.01.09
삼성 갤럭시 s22 굳이 사야하나?  (0) 2022.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