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칼럼/미녀53 칼럼

시스템 트레이딩(2)

언덕위의바람 2020. 1. 18. 00:16
반응형

시스템 트레이딩 두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역추세 전략의 일종인 저점 매수 고점 매도 전략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추세추종 전략과 비교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합니다.

 

시장에서 얻어터지는 많은 사람들이 결국 자조적으로 하게 되는 생각이 있습니다.

 

"주식은 알 수 없어. x발. 그저 쌀 때 사서 비쌀 때 팔면 되는거야."

 

그러고는 주가가 한없이 떨어질 때 주식을 매수해서 오를 때까지 기다리는 자위 행위를 시작하게 되져.

 

물론, 주가가 떨어질 때 주가가 떨어졌다는 단순한 이유 이외에 주식의 가치라던가, 여타 다른 합리적인 이유가 있는 경우는 제외합니다. 그러나 '주가는 떨어지면 오르고 오르면 떨어진다'라면서 마치 도인이 된 것과 같은 말을 하면서 저점 매수 고점 매도(Buy Low and Sell High, BLASH)를 하는 사람은 자신이 얼마나 위험한 생각을 하고 있는지 모릅니다.

 

저점 매수, 고점 매도 전략 중 하나를 시뮬레이션하여 그 문제점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저점 매수와 고점 매도의 가장 기본적인 전략 중 하나는 지지선 매수, 저항선 매도입니다.

 

지지선이란 여러가지에 의해 형성이 되지만 가장 기본적인 지지선은 전 저점의 수준에서 형성이 됩니다.

반대로 저항선은 전 고점의 수준에서 형성이 된다고 봅니다.

 

Swing high란 좌우 x일보다 가장 큰 지점을 말하고, Swing low란 좌우 x일보다 가장 작은 지점을 말합니다. 즉, Swing high는 저항가격, Swing low는 지지가격입니다.

 

그럼 시뮬레이션할 전략을 설명하겠습니다.

 

매수 : 과거 Swing low 지점에 도달하거나 그 지점 밑으로 빠질 때

매도 : 과거 Swing high 지점에 도달하거나 그 지점 위로 솟을 때

Swing 좌우 간격 : 10일

 

다음은 이 로직을 사이보스 트레이더로 코딩한 것입니다. 참고할 분은 참고하세요.

 

전형적인 BLASH 전략입니다. 이 전략의 성과는 어떨까요?

 



보시다시피 아주 실망스럽습니다.

 

다음은 누적 손익곡선입니다.

바닥을 모르고 빠지고 있습니다.

 

귀찮아서 여기에 기재는 하지 않지만 변수값을 10에서 20으로 늘려도 마찬가지입니다.

 

BLASH 전략의 문제점은 지지선과 저항선은 언젠가 깨진다는 점에 있습니다.

 

주가가 아래로 빠질 때 그 바닥을 예단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주가가 크게 폭등할 때 천정을 미리 짐작하는 것 또한 불가능합니다.

물론 바닥과 천정의 징후는 존재합니다. 그러나 이 징후는 어디까지나 확률적인 것일 뿐, 대개 강한 추세는 대중의 예측을 크게 빗나갑니다.

 

반면 추세추종 전략은 어떨까요? 몇 가지 대표적인 것만 살펴보겠습니다. 테스트 기간은 모두 1996년 4월 15일부터 2009년 7월 16일까지입니다. 적용 대상 차트는 연결선물지수 일봉입니다.

 

1) 12일 지수 이평선 상향돌파 시 매수하여 하향돌파 시 매도

 


초기자본 대비 수익률 : 6043.68%

연환산 수익율 : 653.61%

 

2) MACD 전략

 

매수전략 : MACD(12,26)이 0을 상향돌파
매도전략 : MACD(12,26)이 0을 하향돌파

매수청산 전략 : MACD(12,26)이 시그널선(9)를 하향돌파

매도청산 전략 : MACD(12,26)이 시그널선(9)를 상향돌파


초기자본대비 수익율 : 3922.86%

연환산 수익률 : 433.76%

 

3) 신고가 갱신 매수

 

매수 : 40일 신고가 갱신

매수 청산 : 파라볼릭 트레일링 스탑

이익 보존 스탑 : 진입 후 최고가가 진입가격의 2배 이상이 될 때

손절매 : 진입가 대비 10% 손실

 



초기자본 대비 수익률 : 6407.84%

연환산 수익율 : 756.18%

 

4) DMI 전략

 

매수 : DI+가 DI- 상향교차

매도 : DI+가 DI- 하향교차

초기자본 대비 수익률 : 15,558.70%

연환산 수익률 : 1683.23%

 

5) 쌍바닥 매수 쌍봉 매도 전략

 

매수 : 쌍바닥 발생 후 10봉

매도 : 쌍봉 발생 후 10봉

 

초기자본 대비 수익률 : 5283.88%

연환산 수익률 : 581.96%

 

6) 미녀53 개발 추세추종 전략 1

 

로직은 공개할 수 없습니다.

 



초기자본 대비 수익률 : 12,265.92%

연환산 수익률 : 1,328.90%

 

로직을 공개할 수 없는 이유는 이 기법이 알려지면 시장에서 파괴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대신 힌트는 드리겠습니다.

매매시점은 과거와 현재가 교차되는 시점입니다.

그리고 다음은 매매신호 발생을 보여주는 그림입니다.

 



7) 미녀53 개발 추세추종 전략 2

 

역시 로직을 공개할 수는 없고, 힌트를 드리자면 swing point를 이용하는 전략입니다.

초기자본대비 수익률 : 13,329.92%

연환산 수익률 : 1463.28%

 



자, 데이터는 여기까지입니다.

 

여러분 중 놀라신 분도 있을 겁니다.

비록 성과는 조금씩 다르지만 장기적으로 모두 수익을 내줍니다.

추세추종은 장기적으로 어느 것이나 수익을 내줍니다.

 

추세추종 트레이더 중 이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고, 메이저 중 이 공공연한 비밀을 모르는 메이저도 없습니다.

그래서 메이저들은 개투들이 추세를 못 따라오도록 계속 흔들어대는 겁니다. 추세를 따라오면 개투들이 돈을 벌 테니까 말이죠.

 

추세추종을 하는 사람들의 목표는 추세추종으로 돈을 버는게 아닙니다. 이건 기정 사실입니다. 추세추종 전략은 장기적으로 돈이 벌리게 되어 있습니다. 

 

좋은 추세추종 시스템과 나쁜 것을 구분지어주는 것은 돈을 단순히 벌어다주는 것이 아니라 수익의 변동성을 얼마나 줄이는가, 최대자본인하액(즉, 최대 리스크)이 얼마인가, 수익률은 얼마인가, 추세 필터링을 얼마나 잘할 수 있는가 등등의 요소이지 단순히 돈 버는거? 추세를 추종하는 트레이더는 아무도 추세추종 전략이 장기적으로 돈을 벌어다 준다는 것을 의심하지 않습니다.

 

반대로 모든 추세 추종 트레이더는 장기적으로 모든 역추세 전략이 붕괴된다는 점을 의심하지 않습니다.

 

이 글을 통해 여러분이 더이상 역추세 전략에 미련을 가지지 않기를 바랍니다.

역추세 전략은 횡보장에서 높은 승률로 개투를 덫에 빠트리고 갑자기 추세를 만들면서 개투들을 따돌립니다.

설사 횡보장에서 역사이클에 걸리고 매매를 쉬는 한이 있더라도 추세추종을 포기하지 않으면 결국은 돈을 법니다.

이 인내심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가가 장기적인 트레이딩의 성공을 결정합니다.

 

다음에 뵙죠~!  ^^

반응형

'고수칼럼 > 미녀53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을 조정하는 세력?  (0) 2020.01.18
시스템 트레이딩(3)  (0) 2020.01.18
시스템 트레이딩(1)  (0) 2020.01.18
스켈핑, 어떻게 할것인가?  (0) 2020.01.18
매매기법  (0) 2020.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