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엣세이입니다.
오늘은 가상화폐 전망을 해볼까 합니다.
사전적 의미의 가상화페란?
실제 시장에서 사용되는 실물 화폐가 아니라 가상 공간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화폐. 전자 상거래 업체나 온라인 콘텐츠 제공 업체가
이용자에게 마일리지 형태로 제공하기도 한다.
이게 뭐라고 떠들썩 한가?
사실 가상화폐라는 존재가 그렇게 새로운 것은 아닙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부가되는 여러가지 기술들과 거래 방식의 변화가 생겼기 때문입니다.
큰 틀에서 본다면 가상화폐는 싸이월드 도토리나 여타 인터넷에서
현금을 충전하는 모든 것들이 가상화폐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왜 이게 다시 부각이 되고 전세계적으로 핫한 이슈가 되는가? 입니다.
바로 비트코인 때문입니다.
이전의 가상화폐들과 달리 비트코인은
실제적인 사용범위가 넓고 미국에서는 선물거래소에 상장하여
거래를 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전의 가상화폐들은 일정한 금액대비 일정한 충전 금액이나 비율이
고정적으로 되어 있었다면
비트코인은 수시로 그 가치가 변화하며 공급량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쉽게 말하자면
초창기 시장경제가 잘 정착되지 못한 국가에서는
고정환율 제도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게 자꾸 선진화? 변화를 거치면서 고정 환율제가 아닌 변동환율제로 변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국가에서 발행하는 돈은 사실상 거의 무제한에 가깝도록 발행이 가능하지만
비트코인은 업계의 말에 의하면 공급량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어쩌면 국가가 발행하는 돈보다 더 안전하다는 주장입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문제점이 따르는데...
처음에 비트코인을 개발한 사람이 누구인지도 모르고
또한 비트코인으로 인한 피해를 전적으로 투자한 개인이 져야 한다는 점입니다.
혹자는 네덜란드 튤립 투기시절이 떠오른다고 하며
누구는 세상의 커다란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가상화폐 관련된 기술로 주목 받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 또한
그들이 말하는 특별함의 한 가지입니다.
돈의 주인 이력이 남는다는건데 그로 인해 많은 것들이
알려지게 될 것이다?라는 점?
하지만 제 개인적인 가상화폐 전망은 그리 밝지만은 않은 것 같습니다.
미국에 상품선물거래소에 등록이 되고 거래가 되어
공공으로부터 인정을 받는 이야기가 솔솔 나오고 있지만
가상화폐의 베이스는 없습니다.
실질적인 현실에서의 사용빈도도 높은 편이 아니며
정말 투기판 같다는 생각은 많이 하고 있습니다.
가상화폐가 이제는 현물 화폐를 대체하는 날이 올 것이라고 이야기하며
비트코인에 대하여 장밋빛 전망을 늘어놓는 것을 듣고 있자면
한숨만 나오게 됩니다.
가상화폐가 현물화폐를 대체하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다만 그게 지금 등장한 비트코인은 절대아니라는 점입니다.
가상의 권리가 현실에 통용되는 실물권리보다 많은 것은 주식시장이나
선물 파생시장 통화 에너지 금속등등등 여러가지 시장들만 보아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비트코인이 현물화폐를 대체 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입니다.
그 이유는 비트코인 발행주체가 뚜렷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어려운 수학공식을 풀면 이것을 보상을 한다는 명목이지만
그 수학공식을 풀고 난 뒤의 해답이 필요한 일반인이 몇이나 있을 것이며
지금 통용되는 화폐에 힘이 실리는 것은 국가에서 인정을 하고 국가에서
직접적으로 관리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비트코인은 주 관리주체가 불분명하며 어떠한 사건이 터졌을 때 책임질만한
책임자가 없다는 점입니다.
이런한 이유 때문에 비트코인은 현재 통용되는 화폐를 대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비트코인에서 발전된 여러가지 기술을 벤치마킹한
국가에서 발행하는 가상화폐는 탄생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여기까지 가상화폐에 대해 전망을 해보았는데요.
가상화폐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는 만큼
새로운 사업들이 그리고 많은 문제들이 생겨 날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지혜롭게 행동하여 새시대에 잘 적응 할 수 있기를 바라며 이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가상화폐 전망...
-끝-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bdi 운임지수 많이 올랐네요. (0) | 2017.12.09 |
---|---|
2018년 경제전망 (0) | 2017.12.05 |
짐 로저스의 상품시장에 투자하라 (0) | 2017.12.01 |
오징어 한마리 가격 폭발 (금오징어라 불러다오!!) (1) | 2017.11.29 |
문재인 정부는 이전에 없던 호황을 구가 할 가능성이 높다. (0) | 2017.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