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에 쌀가격 지원과 가격책정에 대해 많은 이야기들이 오고 가고 있습니다.
그런 정부 정책 방향에 대해 많은 의견이 쏟아 집니다.
내년에는 쌀가격을 지금보다는 다소 올리려는 정부의 코멘트 들립니다.
그러는 가운데 많은 의견중에 눈길이 가는 의견이
쌀 전면 개방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농업 기술력은 그렇게 좋은 편이 아닙니다.
쌀을 전면개방하면 정부에서도 분명히 농업이 큰 타격이 될 것임을 압니다.
실제적으로 유투브에 들어가서 미국 농업만 쳐봐도 답이 나옵니다.
미국의 기업식 농업에 대한 많은 영상이 올라와있습니다.
기계 크기부터 다르고 대지의 면적부터 다릅니다.
우리나라는 농업은 거의 구멍가게 수준으로 운영을 하지만
미국의 경우에는 확실히 다릅니다.
거대한 하나의 중견기업이 운영하는 것과 같습니다.
약 5 ~ 10만평 되는 곳에서 일하는 인원이 8명이 안됩니다.
그리고 그 가운데 여러 종류의 많은 작물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재배합니다.
쌀을 전면 개방 할 경우 경쟁력이 없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은 것입니다.
그리고 또한 카자흐스탄이나 우즈벡의 농업환경을 보면 또 다른 이야기 입니다.
우리나라 농산물의 가격이 다소 비싼편이지만
제가 여러나라를 돌아보면서 맛 보았던 과일중에 우리나라 과일이 대다수 맛에서
품질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미국식으로 대형화 농업기업화가 이루어지면
그에 맞는 재배 방식으로 변경이 되는데 이게 별로 유익하지 못하다는 점입니다.
많은 부분을 고민해보아야 할 부분이지만
분명히 대형화 기업화가 좋은 부분도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좋은 품질의 육류들이 우리나라보다
보다 많이 저렴하게 유통되고 있습니다.
또한 이렇게 쏠림현상으로 몇몇의 기업이 한국농업의 전체를 장악하게 된다면
가격담합이나 식량 공급에 차질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무조건적인 쌀 전면 개방이 답은 아니라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었습니다.
그럼 이만!~..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한국경제 전망 (0) | 2018.11.09 |
---|---|
현재 시장상황 및 앞으로의 예상 잡설 등 (0) | 2018.09.20 |
한국도 다음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 (0) | 2018.08.31 |
트럼프의 연준압박 (금리 인상 물건너가나?) 약달러 (0) | 2018.08.21 |
심심 할 때 해보는 모의투자 (0) | 2018.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