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게임회사들이 취하고 있는 방향과 세계에서
경쟁하는 게임회사들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
엔씨의 대표작 리니지 단순히 클릭하고 컨트롤하고 사냥하는 전형적 RPG게임입니다.
모바일 버전 출시 이후 과도한 과금이 문제가 된적이 있죠.
넷마블 역시 마찬가지 이슈로 문제가 된적 있습니다.
넥슨은 말 할 필요도 없는 회사입니다.
한국을 대표하는 게임회사를 필두로 중소게임사들또한
양산형 게임을 마구 출시하여 과금처리하고 금방 폐업하는
행태의 사업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부분유료화라는 이름아래 과금유저와 일반유저의 엄청난 갭을 만들어 놓고
과금하도록 유도하고 있죠.
그럼 다른 경쟁력 있다고 판단되는 게임들을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블리자드에서 한국에서 서비스하는 것은 다 알고 계실겁니다.
블리자드 또한 과금을 어느정도 유도하는 편이지만 한국의 게임산업과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적게 과금하는 편이며
게임팩을 구매하도록하여 단발성 과금이 주축을 이루거나
과금유도를 하더라도 크게 국산게임보다는 비교적 적게 과금을 유도한다고 생각합니다.
리그오브레전드
라이엇게임즈 대표작으로 중국 텐센트가 보유한 자회사로써
단 1도 과금하지 않아도 게임내에서 유저격차를 전혀 느낄 수 없으며
오로지 실력만으로 경쟁하도록 한 게임입니다.
게임에 영향을 주는 것 보다 자기 만족을 하도록 스킨을 사도록 하는 것과
챔피언을 사도록 과금을 조금 유도하는 것 밖에 없지만
게임을 점차 진행하면 챔피언을 고를 수 있는 범위가 꽤 넓어지고
굳이 모든 챔프를 다 구비 할 필요없이 경험만 있다면
내가 필요로 하는 챔피언을 주축으로 구입하면 게임하는데 지장이 없습니다.
과금과 무과금의 차이는 약간있지만 그게 계속 유지되는게 아니라 일정시간이 지나가면
그 격차가 어느정도 해소되고 스킨 또한 원하는 스킨을 못 살 뿐이지
모든 것을 다 막아놓지 않고 랜덤팩 같은 것으로 일정부분 스킨을 게임머니로 구매 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 놓았습니다.
배틀그라운드
제가 오래전에 한 게임이고 국내에서 개발되었지만
해외에서 더 잘나가는 게임입니다. 이 게임 역시 팩 형식으로
1회성 과금을 주축으로 모바일게임은 전혀 과금없이 무료로 즐길 수 있도록 했습니다.
제가 드는 생각은 물론 한국게임산업 자체에 대한 실망도 있지만
그게 끝이 아닙니다.
요즘에 나오는 말이 차라리 예전처럼 정액제 게임을 하고 싶다는 이야기가 솔찬히 나옵니다.
그 당시에 정액제 게임을 하면 게임 속에서 미치는 영향이 노력이 많았고 캐쉬라는 부분은
비교적 없거나 적은편이었기 때문입니다.
이동3사에서 구독형 게임서비스를 내놓는다고 합니다.
모바일 게임을 즐기는 편이 아니라서 아직까지 이렇다 할 뭔가를 이야기 하기는 어렵겠지만
대략적으로 서치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야기해보자면
스마트폰으로 플레이 하더라도 적합한 콘솔 주변기기를 통해서
옛날에 많이하던 미니게임기 같은 컨트롤러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해 놓았고
한달에 큰 과금없이 정액 구독형식을 취함으로써 기존게임 대비 현저하게 줄어드는
비용과 더불어 한국게임에서는 느낄 수 없는 풍부한 스토리라인을 장착한 해외 여러 게임들을
직접 경험해 볼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게임회사들은 어떠한 행보를 펼치는지 잘 확인이 안되지만
지금까지 언론에 흘러나온 이야기를 봤을 때는 양산형 게임에 주목하고 있는듯 합니다.
그러나 해외게임을 보면
제가 대표적으로 좋게 보는 게임이 롤입니다.
하나의 게임으로써 끝나는게 아니라 이제는 롤이라는 게임자체가 하나의 문화가되고
아시안게임 시범종목 채택과 더불어 게임 영향력을 게임에 국한하지 않고
많은 부가산업을 창출 하고 있습니다.
그게 지금 당장 큰 수익이 되지 않겠지만 이러한 행보를 계속이어간다면 분명히
지금과 같은 게임 생태계는 180도 달라져 있을 것이라 확신합니다.
처음부터 시장을 전부 잠식하고 충성고객이 폭증하는 것은 거의 도박과 같다고 봅니다.
다만 글로벌 기업들의 전략을 두고 생각해본다면 이것은 엄청난 해자가 될 것입니다.
라이엇게임즈도 욕을 먹긴 했지만 턴제 게임을 출시하여
더 많은 수요를 창출하였고
(저 같은 경우에 롤을 잘 못하는 편이어서 그런 턴제 게임처럼 전략적 게임이
출시되어 매우 반가웠습니다. 어쩌면 유저 배려차원)
저 같은 소외되는 유저도 다시 진입 하고 관심을 가지고 찾게끔 만들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게 끝이 아닙니다.
그들이 가진 무한한 스토리를 하나하나 영상으로 제작을한다면 어떻게 될 것 같습니까?
굿즈가 요즘 유행인데 굿즈나 아니면 피규어로 출시되면 그 부가가치는 어떻게 될거 같습니까?
우리나라 게임회사들은 이런 작은 부분을 무시하는 경향이 강한 것 같은데
넥슨에서 만든 게임 메이플스토리라는 게임이 있습니다.
RPG게임이며 게임내에서 인플레가 너무 심해서 망하기 직전이라는 말을 많이 합니다.
그러나 이 게임에서 나오는 배경음악을 주제로 예술의전당으로 기억합니다.
거기에서 음악회를 열었습니다. 서울교향악단? 관현악단?인 것으로 기억합니다.
당시에 현장에 있었던 참석자의 말을 보면
초딩만 올줄알았는데(게임자체가 귀엽고 초딩틱함) 나이대가 30 ~ 40대가 주류여서 놀랐다고
오케스트라 연주하면서 잡음이 들릴줄 알았는데 전혀 그렇지 않아서 매우 놀라웠다고
다른 이야기를 들어보면
못가서 매우 아쉬웠으며 티켓 비용이 30만원이라도 가서 볼 의향이 있다고 합니다.
게임이라는 것에 갇혀서 추가적인 부수산업들을 너무 등한시하는 것 같습니다.
그들이 가진 스토리 라인 하나하나가 분명히 어벤져스 급의 스토리라인 이라는게
분명한데 그들은 그저 손놓고 있을 뿐이죠.
물론 경영진들의 개방적이지 않은 사고방식도 한몫을 할 것이구요.
넥슨이 새롭게 내놓은게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버전이랍니다.
고객은 자신이 호구 취급당하면 분명히 알게 되어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계속가면 어느 누가 한국게임을 할까요?
게임유저가 언제까지 유지 될까요?
저는 장기적으로는 게임주 매력 없다고 생각합니다.
차라리 3통신사의 구독형게임서비스가 더 경쟁력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정해진 일정기준의 과금과 더불어 유저간의 격차는 노력으로써 해결해야하고
국내에서는 볼 수 없는 심오한 스토리 등 전혀 밀리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한국이 세계적인 게임회사인 이유는 그저 푼돈좀 많이 벌었다는 것 제외하고는
없습니다. 푼돈 벌어놓고 그 자리가 영원하다고 생각하겠지만
벌써 해외 경쟁 게임회사들은 상상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해자를 만들고
자기들만의 방식으로 게임이라는 사업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양산형게임에 염증을 느낀 한국유저가 올리는 글이었습니다.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먼지국의 데이터는 신뢰 할 수 없다. (0) | 2020.02.06 |
---|---|
제조업 공장가동 중단을 심각하게 고려해 봐야 한다. (0) | 2020.02.06 |
장 종료 후 일기 (0) | 2020.01.28 |
일기는 블로그에 (0) | 2020.01.28 |
중국 코로나바이러스 그리고 유가 구리 하락 경기전망 하향조정 예상 (0) | 2020.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