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엣세이입니다.
오늘 메인 뉴스에 내년 기준금리 인상이 힘들 것이라고
말하는 뉴스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참 근거는 있는 주장이라서 뭐라고 딱히 할 수는 없었습니다.
이런 주장의 논리는 올해보다 내년이 더 어렵고
또한 중국의 양적완화정책을 펼치는게
미국의 현재 금융정책 기조보다 우리나라에
더 영향이 크다는 논리인데...
정말 미국보다 중국의 금융정책이 우리나라보다 더 큰 영향을 줄까?
한편으로는 조금 우려되는 것이
미국은 일방적으로 극단적인 금융정책을 갑자기
펼치는 돌발적인 행위를 잘 하지 않는데
공산 국가인 중국에서는 밥먹듯이 일어나는 행위입니다.
길을 내야되니 내일 다 이사가!!!
라고 하면 다음날 다 이사가야되는게 중국입니다.
이런 국가의 금융정책에 기대어
우리 한국경제 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이
조금 불안합니다.
또한 글로벌 소비대국인 미국이 중립이거나
기존 긴축을 감행 할 경우
중국 경기둔화 또한 무시 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이전 글에도 여러번 말했듯이
이러한 상황이 온다면
시장자체가 급등락하고 패닉에 빠질 가능성 또한
무지하게 높습니다.
이 기사의 말대로
내년에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이 힘들고
기준금리 인상기조가 마무리 되었다면
분명히 부동산시장을 필두로 많은 자본시장에서
또 한번 오버슈팅이 나올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는 것입니다.
이는 앞으로 인플레가 더 심하게 작용 할 것이고
이런 상황에서는 현금을 가진자가 바보가 된다는 말입니다.
어쩌면 진짜 한국 서울의 집값이 홍콩에
맞먹는 수준이 오는 날이 곧 도래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차피 내년에 가봐야 아는 일이고
미국의 경제는 과열되는 형국인데
국제적인 지표들을 더 유심히 잘 챙겨볼 필요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참 시장이 많이 어려워졌습니다.
자산을 지키기 위해서 더욱더 신경쓰고
많은 것들을 체크해야 할 것 같네요.
그리고 미국의 동향 중국 동향 또한 잘 챙겨야 할 것 같습니다.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권사 데일리 리포트를 읽고 (0) | 2018.12.04 |
---|---|
내가 사업보고서 보는방법 (0) | 2018.12.04 |
문재인 경제파탄 누구 책임인가? (0) | 2018.12.03 |
2019년 경제위기 절대로 오지 않는다. (0) | 2018.12.02 |
미,중 무역 갈등 굳이 합의 하지 않아도 결국 트럼프의 뜻대로... (0) | 2018.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