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무리 내 작은 눈으로 봐도
이번 무역협상에서 굳이 미국측에서는
협상을 타결할 이유를 찾지 못 하겠다.
트럼프의 정황에서는 모든게 유리하다.
대표적인게 유가의 폭락으로 인해
굳이 관세를 더 때리더라도
금리 상승압력이 현저하게 낮아졌다는 점이다.
트럼프가 원하는 약달러 저금리를 놓고 볼 때
트럼프의 뜻대로 되어가고 있다.
파월의 중립금리 바로 밑까지 도달했다고 코멘트 하기 전의
파월과 트럼프의 관계는 썩 기분좋지 않지만
어떠한 이야기가 오고 갔는지는 모르겠으나
트럼프의 지금 상황은 금리 상승을 제한하기에는 충분한
여건을 만드는 모든 액션을 취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렇기에 파월도 금리 상승을 멈출 수 있다는 시그널을 보내는 것이다.
저유가에 단순한 폭락으로 인해 단기간에 회복을 기대하는
일반적인 시각이 많은 것 같은데
이것은 결코 가볍게 볼만한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물론 앞으로 연준 의장 파월의 행보나 그가 취하는 모든
정책적 결정이 뒷받침 되어야 하는것이고
또는 중립적 금리가 그리 멀지 않은게 그리 멀지 않은게 아닐 수 도 있다.
그러나 그들은 행동을 취해야 할 것이고
이것은 분명히 시장에서 반응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 미중 무역이 타결되는 순간
더욱더 금리 상승은 제한 될 것으로 보인다.
인플레를 유발하기에는 너무 경제에 힘이 빠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분명히 금융시장의 추가적인 오버슈팅을 기대 할 만한 구간이
도래 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반응형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재인 경제파탄 누구 책임인가? (0) | 2018.12.03 |
---|---|
2019년 경제위기 절대로 오지 않는다. (0) | 2018.12.02 |
한국은행 기준금리 드디어 인상 1.75%로 0.25% 인상 (0) | 2018.12.01 |
2019년 한국경제 전망 (0) | 2018.11.09 |
현재 시장상황 및 앞으로의 예상 잡설 등 (0) | 2018.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