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칼럼/미녀53 칼럼

오랜만입니다~

언덕위의바람 2020. 1. 19. 01:13
반응형

다들 잘 지내셨는지요?

요즘 장이 참 좋지 않다는 생각이 듭니다. 현물을 하시는 분이나, 파생을 하시는 분이나, 녹록하지만은 않은 듯 합니다.

 

오랜만에 와서 그동안의 글을 훑어보니 어느새 이곳에 솜씨 좋은 시스테머들도 가입한 듯 하고, 상당한 수준을 자랑하는 곳이 된 듯 하네요. 그러면서 까페지기님은 조금은 고차원적인 세계로 여행을 떠나신 듯도 하군요. ㅎㅎㅎ

 

이 시점에서 여러분이 돌이켜봐야 하는 중요한 사실은 무엇일까요?

 

어쩌면 투기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진리 - 어떤 방법으로든 미래를 예측할 수는 없다 - 라는 점이 아닌가 싶습니다. 고로 어떠한 전략도, 시스템도 시장에서 영원토록 돈을 벌어다줄 수는 없는 것입니다.

 

시장이 랜덤워크이냐 아니냐, 추세가 무엇이냐 등등의 논의도 중요하지만 결국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바로 이 모든 것이 성공적인 매매라는 맥락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아닐까요?

 

자, 이렇게 생각을 해봅시다.

 

시세라는 것은 어디로 튈지 모르는 럭비공과 같습니다. 그것을 예측하려고 많은 사람들이 달려들었으나 그것을 성공적으로 해냈다는 사람은 들어본 바가 없죠.

 

그러다 보니 시세를 예측하기보다는 차익을 거래하겠다는 차익거래자나, 초단위의 거래를 하는 HFT 같은 전략도 프로들 사이에서는 유행도 하고 화자도 되었지만, 그러한 변칙적인 거래방식은 개투들에게는 사실 큰 소용이 없는 것입니다. 언제나 개투들에게 있어서 화제는 큰 흐름을 타는 것이 되어야 하며, 어떻게 그 큰 흐름을 포착하여 편승하느냐가 가장 초보적이면서도 정답이 되지 않을까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한편으로 시세라는 것은 한업이 올라가거나 내려갈수만은 없는 것이지만, 튀어올라가야 하거나 떨어져야 하는 시점에서 그렇지 않은 시세는 도리어 그 여세를 모아 추세를 이어가기도 하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참으로 골때리는 것이 이 시세라는 놈일진데, 이 시세를 지배하는 방정식을 찾아내겠다? 이런 시도는 영원히 성공할 수 없을 거라고 저는 봅니다.

 

시스템 설계를 공부하시면서 많은 점을 배우기도 하고 어려움을 겪기도 하셨을 것입니다. 이 시점에서 여러분은 그 모든 거래 전략을 관통하는 원리가 무엇인가를 한번 생각해보셔야 할 듯 싶습니다.

 

추세추종전략과 역추세전략. 모든 기술적 거래전략의 근간을 이루는 이 두 전략은 시세가 한편으로는 한 방향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지만 한편으로는 극에 이르면 돌아선다는 아주 단순한 경험칙에 의거하고 있는 것이죠. 제가 주로 권유드리는 추세추종 전략은 추세가 발생하는 맥점을 파악하는 것에 핵심이 존재하는데, 그 맥점이 어디에 존재하는가? 이 질문이 영원토록 우리가 답해야 하는 것이죠.

 

전 고점을 돌파하는 지점인가? 5일선을 돌파하는 지점인가? 저점 대비 일정 % 상승한 지점인가? 볼린저 밴드를 허그하는 지점인가?

 

이러한 가설을 시험하기 위해서 시스템 검증을 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일반적으로 추세가 발생하는 지점은 까페에 어느 회원분이 지적하신 것처럼, 손절매가 발생하는 지점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것을 두고 떨어져야 할 곳에서 떨어지지 않으면 더 간다는 격언이 생긴거죠. 남들이 모두 떨어져야 한다고 예상하는 지점이 있는데, 이 부근에서 시세가 떨어지지 않고 한차례 더 올라간다면 시장참가자들은 개별적인 판단을 잃고 시세에 편승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사실은 시장에서 오랜 경험을 쌓은 사람들은 모두들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이런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해서 거래전략을 짜보는 것은 어떨까 생각해봅니다. 분명 도움이 될 것입니다.

 

어느덧 5월도 지나가고 있네요. 모든 회원분들 건강하시길 빌며 많은 돈 버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