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79

2022 5 12

중국 코로나로 문닫고 산지 꽤 된거 같다. 중국향 매출이 일어나는 주식들을 조심하라고 하시는데 의외로 중국향 매출이 개박살나는 종목위주로 스터디하는게 좋을거 같다. 문쳐닫은 중국이 망할거 아니면 언젠가는 문을 열어야 할테니까... 중국주? 딱히 생각나는게 없다. 화장품 별로 안좋아하고 그나마 두산인프라코어인데 건설기계주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그래도 스터디 해볼만한 가치는 있지 않을까 실력 있으신분들이 공부하려고 블로그 한다고 하시니 나도 숭내좀 내볼라고한다 숭내 잘하는 사람 옆에서 숭내만내면 언젠가는 진짜 그 사람을 닮아 가겠지...

잡담 2022.05.12

스태그플레이션이 도래 할까?

중국을 맛탱이 가게 하는 최적의 시나리오는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생각했었고 그게 이제 다가 오려고 한다. 거기에 세트로 묶어서 우리나라도 나빠질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만 나빠지는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나빠질 것으로 보인다. 그런 상황 가운데 우리나라는 최악으로 빠질 것으로 보인다. 스태그플레이션이라는 시나리오도 있지만 우리나라의 자본경제 시장이 개판이고 특히나 주식시장은 더 말해 무엇하겠는가 외국인의 입장에서 한국에서 적절한 가격전가가 될 만한 기업들은 무엇이 있을 것이라 볼 수 있을까?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지면 경기가 불황이고 물가는 오른다. 즉 물가가 오른만큼 가격에 반영 할 수 있는 브랜드 밸류 혹은 필수로 사용해야하는 것들 또한 그것을 가격상승하는 비용 전가와 더불어 판매량이 약간 축소되거나 거의 ..

잡담 2022.04.10

인플레이션 관련주를 찾아야 하나?

인플레이션 관련주를 찾아야 하나? 라는 생각보다는 일반적으로 테크주식에 대한 환상을 아직 못 깨는 것 같다. 인플레이션에 대해 걱정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있을까? 아니 걱정한다고 해도 인플레이션 관련주를 찾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인플레이션 관련주라는게 특별히 있는게 아니다. 우리나라는 산업의 포트폴리오의 다양화를 통해 인플레이션 관련주가 대부분인 나라이다. 흔히 말하는 시클리컬 경기를 타는 산업이 대부분이라는 소리다. 그간의 혁신적인 스마트폰 이후 전기차시대의 도래 애플의 전기차 진출 이런것들의 발판삼에 테크 + 반도체 주식들의 폭등 그래 이때까지는 그랬는데 앞으로도 그렇다는 보장을 할 수 있을까? 가격이 상승한 만큼 실적을 내주는 기업은 얼마나 있나? 그게 현재 제대로 반영한 가치가 맞는가? 코리아 ..

잡담 2022.01.23

김정민 박사 인복 없는 사람

김정민 박사 이사람을 보면 인복이 참 없다 싶다. 이야기 하는거 들어보면 뭔가 있기는 있는데 알 수 없다. 카페에서 일어나는 일을 본인은 알까? ㅋㅋ 내가 그 카페에서 글을 쓴적이 있다. 근데 바로 지웠다. 왜? ㅋㅋ 그 다음날 방송내용이 내가 쓴 내용이랑 겹쳤거든 또 내가 어떤 글을 썻다 근데 지우고 강퇴당했다 ㅋㅋ 특정 인물 지지글이라네? ㅋㅋㅋ 어이가 없어서 내가 특정인물로 도배를 한것도 아니고 특정인물이 민감한 정책에 대한 의견을 내놓은 것을 글을 올렸는데 강퇴시키더라 ㅋㅋ 예전에도 이런적 있었다고 들었다. (설마 아니겠지 했는데 ㅋㅋㅋ 남는사람들은 결국 멍청한 사람들 뿐이구나 싶더라) 당시에 카페 관리자가 본인이 아니라 다른사람이었고 ㅋㅋㅋ 본인은 관여하지 않고 발빼기 바빳는데 정확한 전후 사정..

잡담 2022.01.09

삼성 갤럭시 s22 굳이 사야하나?

삼성 갤럭시 s22 굳이 사야하나? 국내에 공장이나 많이 지어라 삼성 s22 렌더링이랑 예상 스펙나왔다. 나의 스마트폰 역사를 살펴보자면 LG옵티머스 블랙 -> S2 -> G2 (구2) -> V10 (VIP10? 본무10?) -> A7 2017 -> S10 -> S21U (울트라) -> 현재 A52S 울트라에서 울트라 중고판매하고 현재 A52S로 내려왔다. 대충 비교해보면 2017년도 이후부터 쭉 갤래기만 쓰고 있다. 경쟁사인 LG는 스마트폰에서 개망해버렸고 ㄷㅅ같이 ㅋㅋ 내가 해도 그거보단 낫겠다. 전혀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하지 않은 매니아틱만 주장하다가 망해버렷고 갤레기는 불편함을 줄이는 컨셉이었는데 크게 불편하지 않고 가격도 적당하니 그냥저냥 쓰고 있다. 돈만 많으면 이딴게 다 머선 소용이고 바로 ..

잡담 2022.01.09

금융시장에서 제일 좋아하는 말이 뭔줄아냐?

역사는 반복된다 ㅋㅋㅋ 이번 사이클은 희안하게도 성장이랑 가치랑 같이 가는 사이클이 되었는데 아마 퀀텀점프 하게 될텐데 ㅋㅋㅋ 생각해봐야 하는건 기술도 좋고 가치도 좋은데 지금 당장 물가가 안오르고 배부르니까 기술투자도 할 여력이 생기는데 물가 폭등하면 어떻게 될까? 지금당장 배고파 죽겠는데 괜찮을까? ㅋㅋ 호떡이라도 먹어야되면 지금당장 돈이 되는 일을 하게 되어있다. ㅋㅋㅋ 기술개발? ㅋㅋ 그건 아무나하나? 스타트업 그건 아무나하나? ㅋㅋㅋ 지금 당장 현금 창출 못하는 기업들 구조조정이 되어야 나중에 좋은 기업들만 남지 ㅋㅋㅋ 투자도 돈이 남아 돌아야 투자란걸 하지 먹고 사는데 지장이 생기는데 어떻게 상담을 받으러 다니냐 ㅋㅋㅋ 방금 여러 신기술이라고 하는 것들을 보고 왔는데 기도 안찬다. 물론 거기서..

시사상식 2022.01.07

대우조선해양 합병 무산 그 이후

대우조선해양 합병 무산 그 이후 인수하는 회사 후보가 뉴스에 슬슬 나오기 시작한다 한화랑 포스코가 인수 후보로 나오는데 누가 가져가든 대우조선을 적정한 가격에 인수하는 회사는 SK하이닉스 합병이후 최고의 합리적인 인수합병이 될 것으로 보인다. 조만간 도크 2개가 폐쇄된다고 나오고 있고 여러모로 대우조선해양의 앞날이 밝지만은 않다. 더욱이나 조선업에 종사했던 고급인력들이 다른 곳으로 다 빠져나가서 숙련공들이 많이 없다. 앞으로 숙련공들 쟁탈전은 볼만 할 것이다. 몇년사이에 전기차가 성장하는 만큼 조선소도 엄청난 호황이 찾아 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운임지수가 내려갔다고는 하나 아직 재료들이 하나둘 대기중인 상태이다. 대우조선해양 합병 무산 그 이후 보수적인 해운사들은 그동안 신규 배를 발주하기를 꺼려 했..

잡담 2022.01.07

같잖은 교육들이 우후죽순 생기네

교육 받으면 사고가 안날꺼 같아? ㅋ 규정을 지킬거 같냐고 ㅋㅋㅋ ㅈㄴ 얼탱이 없어서 개단가 쳐 받아놓고 밑에 사람 조져대니까 사고가 나는거 아니냐 주기적인 교육을 받으라고 하는건 일자리가 씹창나니까 강제로 일자리 만드는거고 10탱들아 같잖은 자격에 면허 가지고 있는 사람들까지 교육받으라 하면 인건비 오르면 뭐하냐 개잡것들아 겹치는 과목이 한둘이냐 전국민 심폐소생술 대가 만들일 있냐? ㅋㅋㅋㅋㅋㅋㅋ 규제하는게 니들 할일이냐? ㅋㅋ 규제 할 곳에 규제를 하던지? ㅋㅋㅋ 왜 엄한데 와서 자꾸 규제하냐고 멍청이새끼들아 노동관련해서도 특정한 가입을 하지 않는 이상 절대로 일반 노동자들 권리를 챙겨주지도 대변해주지도 않는 것들이 쓰레기 같은거만 따박따박 가져오네 ㅋㅋㅋㅋㅋㅋㅋ

잡담 2022.01.07

10대 마약보다 더 무서운 국뽕

10대 마약보다 더 무서운 국뽕 우리나라가 초고속 성장기를 거친 이후 이렇다 할 기술개발이 없는 상황에서 어디서 갑자기 마약처럼 나오는 이야기들이 국뽕이다. 주변 사람들이 나보고 문화이타주의자 라고 하고 혹은 일뽕이 강하다는데 나는 일뽕은 전혀 아니다.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기술력 면에서는 앞서 있다. 일반적인 기술을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다. 일본은 순수과학 기초과학 등에서 월등히 앞서고 있다. 안철수가 융합에 대해 강조했었고 그 이후로 융합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내가 예로 잘 드는 것이 베어링이다. 지금은 또 새로운 데이터가 필요하지만 크게 달라진 부분은 없을 것이다. 모터에는 베어링이 들어간다. 중심축이 회전을 하려면 베어링이 양쪽을 바치고 있어야 한다. (일반적인 전동 모터를..

잡담 2022.01.03

2022 대통령 후보 김동연이 답이다.

지금 2022 대통령 후보들 공약이 슬금슬금 나오는데 지지율 1등 2등 이건 뭐 최악만 피하는 대통령 뽑기가 되었는데 소위 말하는 빠가 아닌이상 둘다 아니다. 내 주변에는 운동부 지지자도 있고 오른쪽 지지들도 있는데 둘다 정책이 헛점이 많고 후보로써 자질이 의심이 되고 문제가 많은데 애써 외면한다. 그래서 나는 김동연이다. 인물에 김동연후보를 올려놨는데 내가 김동연 후보를 알게 된건 경제부총리재직 이후부터인데 그 이후로 이 인물을 주목해서 보고 나름 조사도 해보면서 알게된 사실들이 있다. 아래는 김동연 후보의 핵심 공약들이다. 쭉 읽어 보시길 바란다. 부족한 부분도 많이 보인다. 국내에 기업들 투자 촉진해야하고 국제기관유치에 힘써야 한다. 이게 대통령의 제 1임무라 본다. 운동부쪽 애들은 그만좀 선동하기..

잡담 2022.01.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