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칼럼 91

박경철 시골의사 독서공감 동영상 감상 후기

시골의사로 잘 알려진 박경철씨 인터넷에 공유되었던 강의는 왠만한것들은 다 들었던것 같다. 특히나 시장에 관심이 많던 나였기에 더욱더 집착적으로 찾아다니지 않았나 싶다. 박경철 시골의사 독서공감에 대해 이야기 하기전에 시골의사 박경철에 대한 간단한 프로필? 먼저 알아보자 박경철 출생 1964년 11월 10일(만 52세) 안동신세계연합클리릭 원장 덕원고등학교 졸업(대구 소재) 영남대학교 의학과졸업 (타칭 주식고수, 투자칼럼니스트, 방송인, 작가 등등등.... ) 이분을 처음 접했던게 언제였나? 주식투자란 무엇인가? 라는 책이 아니었나 싶다. 한마디로 시장참여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기술하고 최소 이정도는 알고 있어야 한다는 본인의 기준을? 세워주신분이시기도 하다. 새벽녘에 검색을 하다가 어찌어찌 흘러들어가 독..

칼럼 2017.08.21

한국 경제의 위기와 경고

안녕하세요? 엣세이입니다. 요 몇일간 명견만리 1,2편 보고 이전부터 알고 있던 한국경제 위기와 경고 내용을 하나하나 다시 생각해보기 시작했습니다. 앞으로 오는 경제위기는 IMF보다 더 힘들거라는 말만 잔뜩하는 경제이야기들... IMF당시에 많은 한국경제의 파장이 있었는데 제일 컷던 문제들이 대기업들이 줄줄이 문닫고 그 밑에 거래하던 업체들 조차도 자금줄이 막혀 망하기 일쑤였습니다. 정말 시중에서 돈이 마른다는 것이 이런 느낌이구나 라는 것을 절절히 깨닫게 해준 사건이었습니다. 분명히 한국 경제의 위기는 올 것이고 시장에서 경고 사인을 보내고 있으나 한국 정책은 별로 좋은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고 있습니다. 좋은 약이 입에 쓴 법인데.. 국민들이 그것들을 받아들여 고통을 감내해야 하지만 절대적으로 쓴약을 ..

칼럼 2017.08.19

명견만리 짐 로저스 편 2부 최종

안녕하세요? 엣세이입니다. 오늘 드디어 짐로저스 명견만리 강연이 마지막으로 방영되었습니다. 남북 분단을 통해 북한의 경제적인 성장이 저하되지 않고 더 성장하고 있었으며 여명의 거리를 개방하면서 북한에 지어진 신축 건물들과 싱가폴의 스타트 기업에서 기업경영 노하우를 전수 받는 북한예비창업자들에 대한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중국이 북한에서 뽑아내는 막대한 자원들을 국제가격보다도 30% 가량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는 부분에서부터 북한과의 유일한 교역국가인 것 그리고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톡 극동지역개발에 관련된 모든 것까지 현재 아시아는 큰 변화 앞에 놓여 있으며 그 중심에는 중국이 있고 한국의 그 변화에서 소외 당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습니다. 또한 방송에 관중석에 앉아 있던 첫째 딸의 유창한 중국어 실력과 ..

칼럼 2017.08.18

슈퍼 301조 위력은?

안녕하세요 엣세이 입니다. 요즘 중국과 미국의 정세가 심상치 않았는데 역시 상황이 녹록하지만은 않네요. 미국에 말을 잘 안듣는 중국을 손?보기 위해 시행하려는 조치로 보입니다. 301조라는 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슈퍼 301조는 1974년 개정된 미국 통상무역법 301조의 개정 조항으로 써 1988년에 이 조항이 독립된 법률로 취급 받으면서 슈퍼 301조로 통합니다. 모든 수단을 무제한으로 보복하겠다는 조치입니다. 명백하게 WTO체제에 정면으로 맞서는 법률이지만 미국이 압도적인 초강대국이기 때문에 시행 가능한 법률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제법이 우선시 되지만 미국의 경우 국제법보다 더 위인 자국 독립법이 있어 저런 치트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역시 천조국 입니다... 우리나라 역시 슈퍼 301조를..

칼럼 2017.08.15

2017년 한국 경제 위기가 도래할까?

안녕하세요? 엣세이입니다. 몇일전 시청하였던 명견만리 짐로저스의 한국 과연 투자처로써 매력이 있나? 라는 내용의 글을 올렸었습니다. 짐로저스 조차도 경제를 진단하고 앞날을 볼 수는 있지만 고칠 수는 없습니다. 짐로저스가 한국 경제를 바라 보았을때 2017년 한국 경제 위기는 이른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본인이 생각하는 경제위기는 2017년이 아닌 2018년이나 그 이후가 될 것으로 예상 하고 있습니다. 한국에 대한 평가는 젊은이들이 창업이나 여타 다른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이 아닌 공무원에 매달리는 모습에 대해 상당히 비관적으로 코멘트 하였습니다. 또한 가계부채를 줄여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마지막으로 규제가 너무 심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정말 중요한 핵심을 말해주지 않았습니다. 제가 보는 한국경제의 실질..

칼럼 2017.08.14

명견만리 짐 로저스 편 1부 감상평

안녕하세요 엣세이 입니다. 오늘 22시 ~ 23시까지 진행되는 명견만리라는 프로그램을 시청하였습니다. 평소 관심을 가지고 있던 짐 로저스라는 전설적인 투자자가 강연자로 나와 한국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기에 더욱더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분이 언급하는 기사를 많이 읽고 일화도 많이 들어 기대를 많이 하였습니다. 그럼 잠시 짐 로저스라는 사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짐 로저스 1942년 10월 19일 생 예일대 역사학 옥스포드 발리올 컬리지 대학원 철학, 경제학 앨러배마주 데모폴리스 카운티 출생 미국의 투자자이자 저자 조지 소르스와 퀀텀펀드의 공동창립자 로저스 홀딩스 대표 현재는 싱가포르에서 거주 중 명견만리에 나와서 처음 했던말 문송합니다. 문과라서 죄송합니다 라는 말을 한국말로 했습니다. 본..

칼럼 2017.08.11

it 중소형주까지 온기를 이어갈 수 있을까?

미사일 발사했다고 언론에서 난리가 났군요. 월요일날 방산관련주가 시장에 관심좀 받겠네요. 타이밍도 절묘하고 외인은 한발 빨리 알았던 것인지 미리 금요일날 팔아부럿네요. 이때까지 잘 올랐는데 역시나 조정이 오네요 이번 조정은 언제까지 가려나? 조정장에서 중소형주가 나름 치고 올라와야 할텐데 그 중에 기대대는 업종 중 하나가 it중소형주인데 이번 예상에 잘 부합해 줄까요? ㅎㅎ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가 받았던 관심을 약간만 it중소형주가 받으면 일년농사 제대로 다 지을텐데 ㅎㅎ 단기조정에서 얼마나 중소형주로 온기가 옮겨 질지? 월요일 장이 더욱더 기대가 되는군요 ㅎㅎ

칼럼 2017.07.30

아파트 부실시공이 예상된다

안녕하세요 엣세이입니다. 오늘은 아파트 시공에 대해 간략하게 이야기 해볼까합니다. 아직까지 전셋집을 전전긍긍하는 엣세이는 내집 하나 갖는게 소원입니다. 이것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염원하는 소원이지요 아파트에 입주 했다는 생각만으로도 행복할텐데 예상치 못한 아파트 부실시공이라면? 아주아주 나쁜 상황이죠... 건설현장에서 요즘에 짓는 아파트들을 보면 아주 쇼킹합니다. 어떻게든 공사를 빨리 마무리하려고 무리한 시공방법을 선택하지 않았나 하는 염려가 되는게 사실입니다. 아파트의 시공자체는 여러가지 많은 방식이 있을텐데 이번에 본 방식은 조금 색달랐습니다. 아파트를 레고 조립하듯 습식 콘크리트 구조물을 하나하나 설치하는 것 입니다. 이게 참 재미있는 상황인게 그렇게 블록식으로 시공했던 이전 아파트 부실시공..

칼럼 2017.07.18

통신주 주가 앞으로의 전망은?

오늘은 통신주 주가에 대해 포스팅을 해볼까 합니다. 연일 코스피가 사상최고가를 갈아치우는 현시점에서 논하는 것이라 더 조심하게 됩니다. 닷컴버블 이후 통신주는 그 동안 줄곳 처참하게 바닥을 기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요즘에 통신주 주가에 대해 조금씩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지금 당장은 언론에서 엘지유플러스가 앞으로 4차산업의 혁명의 최대 수혜주로 뽑고 있으나 실상 통신업계는 SK가 선두이고 KT 엘지 유플입니다. (아직까지는..) 잠시 장기 차트를 보면... 지금 당장 차트만 보아도 움직이기 시작한 종목군도 있고 그렇지 않은 종목도 있습니다. 엘지 유플은 저점대비 약 4배 이상 올랐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무엇때문에 통신주가 오를까요? 다가오는 새로운 시대 무인자동차 산업혁명 등등 정보화 시대에서 ..

칼럼 2017.07.17

내일 증시전망은 이렇겠죠?

내일 증시전망 머가 보이십니까? 내일 오를까요? 내일 내릴까요? 내일 증시전망 이런말 하는 작자들에게 해주고 싶었다. 전망 같은 소리하네 ㅅㅂ 그딴거 알면 니가 다 해처묵지 알려주겠냐? 혜자샘도 울고 갈 천사였냐? 릴렉쉬... 심호흡 쉬~~ 쉬~~~ 그냥 초보자 넉두리나 듣고 가.... 갭상승 후 약간 밀린 뒤 시장이 마감 되었네요. ㅎㅎ 슬슬 폭탄돌리기 시작하는듯 합니다. 참 바보 같아서 그 좋던 시절 다 보내고 이제 막차 타고 잘 달려보자... 라는 심보로 현재 시장에 참여하는 중인데... ㅎㅎ 잘 될지 모르겠습니다. ㅎㅎ 매몰 비용이라는 말 ? 아시나요? ㅎㅎ 사업을 시작했는데 실패해서 큰 비용이 지출되었지만 생까고 그대로 진행하고 추가자본을 투입 이전에 손실난 부분을 매몰 비용이라고 합니다. 어쩌..

칼럼 2017.07.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