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칼럼 91

한국만? 버블경제일까?

미국의 다우존스와 나스닥 한국의 코스피와 코스닥 최근 몇년간 코스피와 다우존스는 그다지 재미 없는 장세가 펼쳐 졌다. 소위 말하는 굴뚝산업들이 재미가 없었던 기간이었던 것이다. 최근 팡이나 마가 이런소리가 나오면서 미국 주식에 대한 환상을 갖기 시작하는 투자자들이 매우 많음을 잘 알고 있다. 나역시 그들과 비슷한 망상은 하지만 그들 기업에 절대 투자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내 기준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들어 한국의 경제에 대해 버블이라고 경고하는 시그널이 나오고 있다. 사실 언제나 한국경제에 대한 버블을 경고하는 사람은 있다. 닥터둠 루비니 교수의 경우 매년 글로벌 퍼펙트 스톰이 온다고 그런다. 그러나 그가 말하는 경기침체는 매년 오지 않았다. 실상 경제에는 어느정도의 버블은 대부분의 기간동안 생성되..

칼럼 2019.08.28

한일무역전쟁을 바라보는 나의 관점

안녕하세요? 엣세이입니다. 오랜만에 포스팅 하게 되었습니다. 그간 많은 일들이 있었고 또 바뻐서 포스팅이 많이 늦었네요. 요즘에 뜨거운 화제로 떠오른 문제 한일무역전쟁인데요. 한일 무역전쟁을 기반으로 누군가가 움직인다는 느낌을 지울수 없습니다. 한일무역전쟁이 발발하면서 생기게 될 많은 일들 조금은 망상이라고 아셔도 될 것같네요. 최근들어 유니클로나 일본 여행객 감소가 이어진다는 뉴스가 나오고 있습니다. 여러분도 일본산 제품이나 일본여행을 자제하고 계신가요? 그런 멍청한 짓은 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일본의 위안부문제로 촉발된 한일 외교갈등이 심화되어 무역전쟁으로 확전되었는데요. 그걸빌미로 애국이라는 키워드가 사방을 뒤덮고 있네요. 왠지 옛날의 국산품을 애용합시다. 신토불이가 생각나는군요. 무역 자유화를 통..

칼럼 2019.08.01

농사꾼의 망상노트1

나는 유투브를 즐겨보는 편이다. 그렇게 유투브를 시청하면서 알게된 경제칼럼니스트나 xx연구소 소장이나 어디어디 연구원 아니면 어디증권사 등... 다방면의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그렇게 많은 사람들을 보면서 거르고 걸러 자체필터링을 거쳐서 몇사람이 남게 되었는데 그 중에 몇사람이 상승미소라는 유투버이자 작가 경제칼럼니스트이자 금융상품판매사 그리고 이진우소장님이다. 얼마전에 이진우소장의 키움증권 마켓리더 프로에서 다시 상승미소님을 초청하여 이야기를 나누던 도중에 공감을 했던 말 중에 하나가 이진우 소장님이 대통령이 누가되었건 지금일어나는 분쟁은 계속 된다는 관점이었는데 나도 거기에 깊은 공감을 하는 바이다. 트럼프가 집권하였기 때문에 그저 지금의 분쟁이 일어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매우 짧은 생각이다. ..

칼럼 2019.06.19

쿠팡 이마트 그들의 소리없는 물류대전

안녕하세요? 엣세이 입니다. 오늘은 물류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이마트 주식이 최근에 바닥을 모르고 쳐박는 현실에 왜 이렇게 되는지 고민 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이마트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이마트는 우리나라 최대 할인마켓입니다. (오프라인) 그리고 쿠팡은 매출액기준 우리나라 최대 온라인마켓입니다. 그들의 소리없는 전쟁이 시작된지는 이제 3년이 접어드는것 같습니다. 또한 여기에 + 알파로 마켓커리도 있죠. 샛별배송 로켓배송이라는 이름하에 많은 일들이 있었습니다. 그 이름도 이제는 너무나 익숙해져서 더이상 새로울 것이 없어졌습니다. 처음에 출시되었던 로켓배송이나 샛별배송의 인기는 엄청났습니다. 기존의 배송기간이 2 ~ 3일이던게 다음날 물건을 받아 볼 수..

칼럼 2019.04.22

5G 관련주만 준비하면 끝인가요?

테마로 시작해 테마로 끝나는 한 주기가 될거 같아 마음이 많이 아프다. 요즘에는 사람들이 5g관련주를 많이 찾고 있다. 5g 관련주는 이동통신 3사 그리고 안테나 기업 그리고 안테나를 설치하는 기지국 건설기업 칩셋기업 등을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이런 기업들은 대부분 1회성 이벤트에 끝나는 기업들이다. 기지국 건설의 주기 요금 규제를 받는 이 통사들(무게가 무거워서 잘 움직이기도 힘들다) 안테나 칩셋등도 똑같다 바짝오르고 끝나버리는 기업이다. 이왕이면 5g관련주를 매매 할 거라면 좀 더 크게 보는게 낫지 않을까 싶다. 5g에만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5g와 관련된 산업군을 보라고 이야기 하고 싶다. 3g가 도입되고 lte까지 오면서 많은 변화들이 생겼다. 근 10년 가까운 시기를 정보기술이 경제성장을 이끌..

칼럼 2019.03.26

2019년 주식시장 상장폐지 요건 (거래소, 코스닥)

오늘은 어떤글을 쓸까 고민을 하다가 주식시장의 상장폐지라는 것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한다. 이전에 썻던 많은 글들은 너무 장황하고 실질적인 뭔가를 제시하거나 확실한게 없는듯 하여 새롭게 다른 방면으로 글을 쓰기로 했다. 주식쟁이라면 대부분이 알만한 상장폐지라는 것이 있다. 상장폐지라는 것은 상장된 증권이 매매대상 유가증권으로서의 적격성을 상실하여 상장 자격이 취소되는 것입니다. 대부분 코스피나 코스닥 시장에서 퇴출되는 것을 상장폐지라고 하며 상장폐지가 결정되면 코스피나 코스닥에서 거래를 할 수 없게 됩니다. 그러나 코스피나 코스닥에서 거래를 할 수 없게 되는 것이지 회사가 망하지 않았을 경우에 장외거래라는 것을 통하여 매매를 할 수 있습니다. 단지 거래소나 코스닥에 비해 매매하기 번거롭고 매매차익이 없겠..

칼럼 2019.03.19

제약 바이오주 거품이라고 말하는 이유

제약 바이오주가 거품이라고 말하면 미친놈이라는 소리를 듣는다. 특히나 셀트리온보고 거품이라고 말하면 완전 개XX취급 당한다. 그러나 나는 확신한다 우리나라 제약 바이오 중에 그나마 제일 정신 차리고 일하는 회사는 삼성바이오로직스 그리고 셀트리온인데 그래도 전부 거품이라고 말한다. 우리나라의 대기업을 조사를 해보면 내수만 가지고 장사하는 기업이 몇이나 될까? 있다고 해도 상위권에 속하는 기업은 몇개나 될까? 지금 찾아보지 말고 딱 생각해보자 나는 지금 딱 떠오르는 기업이 딱 한군데다 한국전력 그 곳을 제외하고는 대기업이라고 부를만한 기업들 중에 국내산업을 하는 기업들? 잘 기억안난다. 직접 찾아봐도 공기업을 제외하면 찾을 수 있을까? 수출기업 대비 내수기업중에 수출기업만큼 규모가 되는 곳이 몇개나 될까? ..

칼럼 2019.01.08

5g 상용화는 망하는 지름 길이다.

안녕하세요? 엣세이입니다. 올해부터 5g상용화에 착수에 들어가는데요. 지금 당장은 국한된 몇몇의 장소에서 5g장비로 송수신하여 다시 와이파이 기계에 전파를 뿌려주는 역활정도를 하고 또한 인터넷에서는 일부 로봇이나 공장등에 적용되고 있는 것이 매스컴을 통해 흘러 나오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5g에 대해서 기대하고 있고 언론에서 말하는 혁신적인 일들이 곧 일어날 것 처럼이야기 하지만 현실은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5G가 상용화되면 많은 자동화 바람이 일어날 것이지만 KT 아현 화재로 많은 것들이 증명되고 후일에 일어날 재난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KT 아현 화재는 단순히 결제나 은행시스템 혹은 통신 두절정도의 피해로 끝났지만 5G는 절대 그렇게 끝나지 않을 것입니다. 5G를 통해 자동화 된 자율주행차부터 ..

칼럼 2019.01.06

GS25 초코 플레이크 초코맛에 빠지다.

오늘 초콜릿 아이스크림이 너무 먹고 싶어서 GS25에서만 파는 초코 플레이크를 구입해서 왔습니다. 1개에 3500원으로 가성비 끝판왕인 상품인데요. 제가 좋아하는 브랜드인 라벨리에서 출시한 퍼먹는 아이스크림입니다. 양은 혼자 먹기에는 다소 양이 많아요. 그래서 한번에 다 먹지 못했어요. ㅎ 초콜렛이 초코아이스크림 중간중간에 팍팍 박혀 있는데 녹을때마다 초코덩이가 나오면 그 맛은 잭팟입니다. ㅎㅎ 황홀합니다. GS25 초코 플레이크 초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먹어보시기 바래요. ㅎ

칼럼 2019.01.05

넥슨 매각 게임업계 이제 본격적인 빅뱅이다.

어제 넥슨지티 및 넥슨관련주들이 제다 줄줄이 상한가를 갔습니다. 게임업계에 관심을 가져오시던 분들이라면 누구나가 공감하는게 새로운 컨텐츠 색다른 게임을 볼 수 없다는 것에 누구나 동의 할 것입니다. 배틀그라운드나 리그오브레전드 스타크래프트 클래시오브로얄 등 게임 업계도 양극화 현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현재 넥슨이 한국에서 서비스 하는 게임중에 특별한 스토리 라인이나 색다른 게임방식을 전혀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비단 넥슨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게임업계 전체에 깔려 있는 위기이자 과제입니다. 예전처럼 무작정 게임을 내놓고 히트친다는 것은 옛말이 되어 버렸습니다. 또한 현재 한국의 과도한 과금은 많은 게이머들로부터 염증을 느끼게 만들기 충분합니다. 무슨 게임을 제대로 하려면 모 아이템 거래사이트를..

칼럼 2019.01.04
반응형